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 #유용한사이트 #개발자사이트 #데이터분석가사이트
- 파이썬
- 백준문제
- 헬린이
- 명목척도
- Python
- 글쓰기작가
- COUNT 함수
- 카페
- 짐박스
- append
- 웨이트
- 웨이트트레이닝
- 신림동
- 겨울아침 #겨울일기 #일기 #글쟁이 #글쓰기 #시인 #하루글쓰기 #일지 #
- 맛집
- 헬스장
- 장기 #박보연구가 #배성철프로9단 #배성철 #장기프로 #프로9단 #장기박보 #PDF전자책 #장기박보구입 #장기박보살때 #장기내기 #필살기 #실전의묘수 #실전수 #장기인생 #기보연구 #기보
- 운동
- #오늘 #하루
- 내일배움 #코딩 #데이터분석가 #문과생 #비전공자 #서비스기획자 #PM #머신러닝 #딥러닝 #취준생 #이직 #코린이 #백준문제 #백준벌집문제 #
- insert
- 데이터측정척도 #범주형 #연속형 #질적 #양적 #변수
- 헬스
- 신림
- PDF #전자책 #묘수풀이 #묘수 #장기묘수
- 건강
- 시각화
- 빅데이터 #교육과정 #후기
- 힙업
- Today
- Total
선택과 집중
[사입꿀TIP] 온라인 입금시, 부가세 포함입금/계산서 발생필수가 무슨말일까? 본문
나는 지금 현재
의류쇼핑몰계에 모르는 용어가 정말 많다.
그러나 이전의 나와 달리
행동을 먼저 하기전에
걸리는 의문들을 다 찾아보고 진행하려고 한다 !
기한을 맞추려면 위험요소를 모두 파악하기란 어렵다.
('그땐 맞고 지금은 틀리다'의 개념이랄까..?)
선후에 따라 미리 진행해야 되는일도 있고 ㅎㅎ
(옷이나 필요물품 배송이 늦어지면,
사진 찍기도 전에 옷의 상세페이지 셋팅을 먼저 해놓는다거나)
전 단계를 넘어야만 다음 단계에서 전단계가 확연히 보이는 원리와 같이
(사업자 등록을 해야 사입 앱에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입자 등록하기 전에는 앱으로 옷을 고를수 있을지 판단할 수 없다. 배송방법도 알 수 없고
공유오피스를 계약할 때 동대문 근처냐 집근처냐는 나의 판단으로 정해야 한다 !!!)
뭐랄까.. 모든 리스크를 다 파악할수도 없다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리스크를 줄여보는 방향이 BEST인것 같다 !!
그러한 과정 중에 어떠한 일은 쓸모없는 일이 되기도 하지만
그러나 크게 보면 나중에는 다 필요한 일이기에 괜찮다!!! :) 는게 결론 !
그래서 내가 지금 궁금한 의문은 무엇이냐
Q. 온라인 입금시, 부가세 포함입금/계산서 발생필수가 무슨말일까?
보통 쇼핑몰 시작단계의 사람들은 간이과세자이고
물건을 파는 쪽은 매출이 크다보니 일반과세자이다.
그래서 현금으로 계속 직거래를 하다보면 나중에 그 매출처가 문제가 됨 ㅎㅎ
매출처에 세무조사가 들어갈 경우 국세청에서 개인 계좌를 모두 보고,
출저없는 이체 내역이 있으면 다 매출로 잡아버려 세금 폭탄을 맞을 가능성이 생긴다.
그래서 그쪽에서 정당하게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거나
아니면 증거가 남지 않는 현금을 달라고 하게 됨.
따라서, 쇼핑몰 초보사장들은
간이과세자 이지만
부과세 10프로 포함 매입세금계산서를 받는게 원칙이 됨!
+팁1) 세금 폭탄 맞는데, 도매처에서 매입분에 대한 세금계산서 발행을 꺼리는 곳의 이유는?
계속 계좌이체로 사입비를 입금해도 별 말이 없고,
세금계산서에 관해서 따로 말씀이 없는 사장님들도 있으심.
그러니 사입전에 톡으로 조율이 필요해보인당~~
(도매처는 매출이 별로 없어서 그냥 그렇게 진행하는 건가..?
어렵당..)
-[질문] 세금계산서 따로 발행하시나요?
+팁2)
사입하는데마다 부가세 포함인데가 있고 불포함인데가 있어서
거래전 항상 부과세 포함 가격인지 묻고
세금계산서 물어보시는게 좋음
(그러나 보통 부과세 포함인 가게는 없다 ㅎㅎㅎ)
-[질문] 가격에 부과세 포함인가요?
+팁3) 부가세 10%는 어디에 붙는가?
배송비 제외 물건값의 부가세 10% 가 붙는다.
Q. 세금계산서 란?
사업자가 물품 등을 판매할 시 물품 등을 구매하는 자로부터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였다는 거래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증서!
+팁5) 간이에서 일반으로 전환됐을시 세금계산서 발행해야 하는데 어떻게 하나.?
사업과 관련하여 지출한 비용에 대해서는
세금계산서 또는 현금영수증을 수취하거나,
국세청 홈택스에 등록한 사업용신용카드로 결제해야 한다.
적격증빙을 수취하지 못한 비용에 대해서는 매입세액공제가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적격증빙(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신용카드매출전표)를 수령하시는 것을 권함.
'삶의 질 수직상승 > 사장님되기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 단체 및 기업 단위] 세무 무료 상담 : '현장 상담실 찾아가는 서비스' 신청하기 (0) | 2023.06.21 |
---|---|
[사입꿀TIP] 신상마켓, 매장주문과 신상배송의 배송 방식의 차이? (0) | 2023.06.13 |
STEP 01 . 사업자 등록 후, 사업자 통장을 만들어야 하는가? (0) | 2023.06.07 |
프리랜서 홀로서기 2日차 : 크몽 서비스 등록 I 창업 아이템 I 고기 I 브런치 가입 (0) | 2023.06.04 |
스마트스토어 vs 쿠팡 위탁판매 차이 + 도매매 도매꾹은 뭐지? (0) | 2023.05.27 |